‘2015 대전국제와인페어’ 새롭게 선보인다
대전컨벤션센터/ 대전무역전시관에서 8.29(토)~9.6(일)까지
“대전국제와인페어를 대전의 대표행사로 키운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와인트로피’, ‘아시아와인바이어스컨퍼런스’, ‘와인&주류 전시회’ 로 구성되어 비즈니스 성격이 강화 되었으며, ‘아시아와인트로피’(8.29~9.1)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와인 품평회로 전 세계 와인 약 3.500종 이상이 출품되고 세계 각국의 와인 전문가 약 120명이 심사위원으로 참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아시아와인바이어스컨퍼런스’(8.30~9.5)는 와인전문가는 물론 와인 애호가에게도 국제 와인시장의 트렌드에 대한 정보와 와인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상식을 얻을 수 있는 국제적인 성격의 포럼으로 약 40여개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와인&주류 전시회’(9.3~9.6)는 와인 수입 및 유통업체, 와인 관련 용품 제조업체, 국내 와인 및 전통주 생산자, 해외의 와인 생산자가 전시 참여하는 행사로 대전무역전시관에서 200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일반인은 입장료 1만원으로 와인글라스를 지급받고 퍼블릭 존에서 (9.5~6은 비즈니스 존도 출입 가능) 전 세계의 와인을 시음할 수 있으며, 한빛탑 광장 일원에서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체험활동이 개최된다.
대전이 국토 중심에 놓여 있는 장점이 있고 우리나라의 와인소비와 문화가 발전하는 시대적 흐름이 있으므로 대전국제와인페어에 관광적인 요소가 추가된다면 관광자원이 부족한 대전의 관광객 증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록에 의하면 대전이 우리나라 상업적 근대 와인 생산의 발원지라고 한다. 1968년 한국 산토리 주식회사가 대전시 월평동에 와인생산 시설을 짓고 주변의 포도밭에서 포도를 수매하여 와인을 생산했다는 기록이 있다.
올해 4회를 맞는 2015 대전국제와인페어가 지속가능하고, 대전을 대표하는 행사로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행사 관계자는 “행사 개최 준비를 철저히 하여 대전 시민이 마음 것 즐길 수 있고,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대전의 대표 행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위키 백과 한국어판 수록 내용
“구한말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까지 포도주는 주로 유럽에서 수입하여 상류층에만 보급되어 오다가, 1965년 양곡관리법의 시행으로 주류 제조 목적의 포도 재배가 장려되기 시작하였으며, 1968년 농어촌개발공사(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일본 산토리(Suntory)사와 합작으로 한국산토리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충청남도 대전시 월평동(현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 포도주 공장을 세워 ‘선리 포트 와인(Sunry Port Wine)’의 생산을 개시하면서 대한민국에서도 포도주의 상업적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후 한국산토리는 해태그룹에 인수되어 1974년 해태주조(현 국순당)가 노블와인을 내놓았고, 이후 백화양조(현 롯데칠성음료 군산공장)와 동양맥주(현 롯데칠성음료 경산공장) 등이 와인 시장에 진출하면서 대한민국의 포도주 시장은 3사 경쟁 체제에 돌입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