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건 시간뿐
임재철 칼럼니스트
정말 세월이 유수와 같다. 이 또한 인생길이며 나그네 길이기에 흐르는 물결 따라 때로는 물결 위로 수면 아래로 오르락내리락 시간에 기대어 살아왔건만 어느새 많은 세월이 흘렀다. 시간은 무척 빠르고 거침없다. 살아간다는 건 길을 떠나는 것이고 끝도 없는 그 길을 가는 거라지만, 세상에서 가장 야속한 것은 아마도 시간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잔잔하게 그늘에 몸을 맡기면서 걸어가는 다동나그네인 필자 역시 살아온 세월의 굴레에 여지없이 허무하고 우울하다.
아쉬움 가득한 그 많은 시간들과 나약한 마음이 숨겨놓은 이야기처럼 뭉실뭉실 떠오르니 문득 언젠가 읽었던 다자이 오사무의《인간실격》이 뇌리를 찌른다. 이를테면 ‘사람’을 생각하고 사람 사는 세상을 생각하게 된다. 각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세상, 그 안에서 허우적대는 사람,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삶, 우리네 세상살이다. 누군가 기억한들, 그 사람도 굽이굽이 조만간 세상 속으로 스러진다.
나이가 들면 지난 인생 조각의 기억이 또렷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흐려진다.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는 탓일 거다. 그리고 신산한 일상을 살아가는 중년에 접어들면 옛 대중가요나 추억의 팝송 음색이 시리다. 백호 형이 말한다. ‘잃어버린 것에 대하여’, 말하자면 50년 전도 어제고, 30년 전도 어제다. 그러니까 시간이 중첩되어 흐르고 있을 뿐. 지나간 시간 속에서 서성대는 필자를 보게 된다.
법정 스님의《산에는 꽃이 피네》에서 보면 “인간은 강물처럼 흐르는 존재이다”라는 대목이 있다. “우리들은 지금 이렇게 이 자리에 앉아 있지만 끊임없이 흘러가고 있다. 늘 변하고 있는 것이다. 날마다 똑같은 사람일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남을 판단할 수 없고 심판할 수 없다. 우리가 누군가에 대해서 비난을 하고 판단을 한다는 것은 한 달 전이나 두 달 전 또는 며칠 전의 낡은 자로서 현재의 그 사람을 재려고 하는 것과 같다. 그 사람의 내부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시간이 흐르고 삶이 흐르고, 지금 우리가 아열대, 아니면 열대 우림 기후 속에 살든 삶은 삶인 것이다. 필자 역시 부족함이 너무 많아 한가지도 달관한 게 없는 휘청 이는 나그네의 모습이지만, 그래도 흐르는 시간속에서 희망을 놓지 않았다는 다짐이다. 혹자는 말한다. 세상의 시간은 공평하다고. 사람과 사람이 만나 얽히고설키는 세상, 시간이 강물처럼 흐르는 걸 알고, 그 시간을 깊게 느끼며, 연습이 없는 인생 무대를 채우는 거다.
흐르는 시간 속에 여전히 진행형인 나그네 길, 때문에 노자의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을 사는 거다. 소설가 박경리 씨는 이렇게 말했다. “다시 젊어 지고 싶지 않다. 모진 세월 가고… 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렇게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홀가분하다” 이른바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는 물처럼 살다 간 사람이다. 다시 말해 상선약수의 삶을 살았다.
아아, 흐르는 건 시간뿐! 나이가 들어갈수록 삶의 시계가 빠르게 간다지만 여름의 절정 8월의 빈 하늘이 무한이 넓다. 더 하나,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것은 빈 마음이 너무 좋다는 거다. 텅 빈 마음과 하늘이 아름답게 여겨지는 순간이다. 빈잔 이라야 술을 담고 빈 가슴이래야 세상을 안을 수 있다. 그렇다. 빈 마음으로 담담히 나그네 길을 가야만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