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록담의 복원 전통주 스토리텔링(40)<溫故知新>
독한 술에는 무릇 독(毒)이 있으니 ‘노주소독법(露酒消毒法)’
그 예로, “술맛이 깨끗하고 청쾌하면서 빨리 취하고 빨리 깨며, 비교적 숙취가 적다.”는 장점 때문에 ‘소주’를 즐겨 마시던 사람들 사이에서 갑자기 죽거나 실명(失明)하는 등 여러 가지 폐단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부유층과 사대부들 사이에서 ‘소주’가 널리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특히 세종 대에는 ‘소주’의 유행과 더불어 그 폐해가 심했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이 땅에 ‘소주’가 전파된 지 오래지 않은 당시에는 ‘소주독(燒酒毒)’에 대해 잘 몰랐을 것이므로, ‘소주’ 음주를 경계하는 것으로 방편을 삼았을 것이고, 후일에야 ‘소주독’에 대한 해소 방법을 찾기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측된다.
추측하건대 ‘노주소독방’은 그와 같은 배경에서 그 주방문이 생겨났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러 가지 방편 가운데 ‘노주소독방(露酒消毒方)’이란 것이 있다. ‘노주소독방’은 자전 풀이 그대로 “노주(露酒) 곧 소주의 주독(酒毒)을 해소시키는 주방문”이다.
‘노주소독방’은 1613년경에 간행된 <고사촬요(故事撮要)>에 처음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후 1716년의 <산림경제(山林經濟)>와 1766년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1771년의 <고사신서(攷事新書)>, 1799년의 <해동농서(海東農書)>, 1800년대 초엽에서 중엽의 <고려대규합총서(高麗大閨閤叢書, 異本)>, <군학회등(群學會騰)>과 연대 미상의 <의방합편(醫方合編)>에서도 ‘노주소독방’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고려대규합총서(이본)>과 <부인필지(夫人必知)>에서는 ‘여름에 소주 마실 때’와 ‘소주 고을 때’에 주의사항으로 꿀을 사용하는 방법을 수록하고 있어 ‘노주소독방’에 포함시켰다.
가장 오래된 기록인 <고사촬요>의 주방문을 보면, “소주를 내릴 때 소주 받을 병 밑에 벌꿀을 바르면 소독이 되고 맛이 몹시 좋다. 만약 꿀을 많이 바르면 너무 달고, 그렇다고 살짝 바르면 효과가 없다. 술의 양에 따라서 적당히 바른다.”고 하였고, 의학 관련 문헌인 <의방합편>에도 “소주를 받을 병(수기) 바닥에 꿀을 바르는데, 많으면 크게 달고, 너무 적으면 효과가 없으니 적당량을 발라야 한다.”라고 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군학회등>에서는 “맨 처음에 받은 노주는 맛이 너무 독해 사람의 몸을 몹시 손상시키고 맛도 좋지 않다. 정화수를 적당량 타, 조금 있다가 마시면 좋다. 맛이 좋지 않은 술로 소주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다른 노주 약간을 섞고 받아낸다. 그러면 맛도 제법 진하고 몹시 취하게 하지도 않는다. 노주를 받고 나서는 밀봉하여 기운이 새나가지 않게 하고, 항상 따뜻한 곳에 놓아둔다. 노주를 담은 병 주둥이는 날 오이나 비름나물로 막지 말아야 한다. 하룻밤 지나면 맛이 싱거워진다. 여름에 꿀을 탄 맛이 독한 노주에다 얼음 조각을 넣고 급하게 저어 차게 해서 마시면 맛이 아주 맑고 시원하다. 노주에 초를 타서 마시면 한 잔만 마셔도 대번에 몹시 취한다.”고 하여, ‘소주’를 마실 때의 여러 가지 요령과 함께 좋은 ‘소주’를 얻는 방법, 보관하는 법 등에 대해 언급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결국 ‘노주소독방’이란 ‘소주’를 증류할 때 꿀이나 사탕을 녹여 마시는 방법이며, 꿀이 ‘소주독’을 해소시켜 준다고 하는 사실적인 한의학적 처방을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소주’가 독하여 마시기 어려운 만큼, 지초나 계피, 치자 등을 첨가하여 특별한 향이나 색을 부여하기도 하며, 기호를 좋게 하는 여러 가지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노주소독방’이 생겨난 배경을 직시하자면, ‘소주’와 같이 도수가 높은 술은 그만큼 해독이 심하므로 경계해야 한다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할 것이다.
덧붙여 소주를 저장 또는 보관하는 방법을 언급하자면, “술은 저온에서 숙성시킨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으로 되어 있으나, 옛 기록을 보면 소주는 상온에서 보관하여 마시는 것으로 되어 있다.
1823년에 저술된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의 ‘수로주법(收露酒法)’을 보면 “取露酒堅封勿泄氣常置(湯/溫)處凡露酒甁口勿以生瓜及莧菜塞之經夜味則淡矣(소주는 항상 뚜껑을 꼭 닫아 김이 빠지지 않게 하여야 하며 따뜻한 곳에 둔다. 그리고 노주항아리 주둥이를 생오이나 찬 비름으로 마개를 막은 채 밤이 지나면 술맛이 순해진다. <增補山林經濟>를 인용하였다.”고 한 기록도 살펴볼 수 있다.
무릇 알코올도수가 높은 술에는 독(毒)이 있으니 명주(名酒)라고 할지라도 이를 무시할 수가 없다. 소주는 반드시 상온에서 숙성시켜 마시는 방법으로 건강을 보존할 일이다.
여름에 소주를 마실 때는 꿀을 타고 얼음 한 조각을 넣어 급히 저어 먹으면 맛이 좋을 뿐더러 또한 독이 없다.
◈노주소독방 <고사촬요(故事撮要)> <고사신서(攷事新書)> <고사십이집(攷事十二集)> <산림경제(山林經濟)> <의방합편(醫方合編)>
소주를 받을 병(수기) 바닥에 꿀을 바르는데, 많으면 크게 달고, 너무 적으면 효과가 없으니 적당량을 바르도록 한다.
◈노주소독법 <군학회등(群學會騰)> <농정회요(農政會要)>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해동농서(海東農書)>
소주를 받을 병(수기) 바닥에 꿀을 바르는데, 많으면 크게 달고, 너무 적으면 효과가 없으니 적당량을 바르도록 한다.
* 주방문 말미에 “맨 처음에 받은 노주는 맛이 너무 독해 사람의 몸을 몹시 손상시키고 맛도 좋지 않다. 정화수를 적당량 타, 조금 있다가 마시면 좋다. 맛이 좋지 않은 술로 소주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다른 노주 약간을 섞고 받아낸다. 그러면 맛도 제법 진하고 몹시 취하게 하지도 않는다. 노주를 받아 밀봉하여 기운이 새나가지 않게 하고, 항상 따뜻한 곳에 놓아둔다. 노주 병 주둥이는 날 오이나 비름나물로 막지 말아야 한다. 하룻밤 지나면 맛이 싱거워진다. 여름에, 꿀을 탄 맛이 독한 노주에다 얼음 조각을 넣고 급하게 저어 차게 해서 마시면 맛이 아주 맑고 시원하다. 노주에 초를 타서 마시면 한 잔만 마셔도 대번에 몹시 취한다.
◈ 소주 고을 때 <부인필지(夫人必知)>
꿀을 소주 받는 그릇 밑에 꿀을 발라 받으면 독이 없고 매양 주독이 치아에 들어가는 고로 한 잔 먹은 후 한 번씩 양치질하면 치통이 없나니라.
<소쥬 고을 > 을 소쥬 밧 그릇 밋헤 발나 밧으면 독이 업고 양 쥬독이 치아에 들어가 고로 잔 먹은 후 번식 양치질면 치통이 업니라.
◈ 소로잡법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① 좋은 꿀로 소주를 담는 항아리를 닦으면 독을 없애고 맛이 좋아진다. 꿀이 너무 많으면 술이 달기 때문에 적량을 넣어야 한다. <증보산림경제>를 인용하였다. ② 소주를 담는 병 주둥이에 모시를 놓고 그 위에 계핏가루, 설탕 등을 놓고 술을 받으면 술맛이 달고 향기롭다. ③ 술색을 붉게 하려면 모시 위에 자초, 노랗게 하려면 치자를 놓는다. <증보산림경제>를 인용하였다. ④ 좋은 생당귀를 썰어 병에 넣고 소주를 받으면 술이 독하지 않고 맛이 좋다. <증보산림경제>를 인용하였다.
* <임원십육지>의 ‘소로잡법’은 <산림경제> 등 다른 문헌의 ‘노주소독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노주소독법’에 함께 묶었음을 밝혀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