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농식품 가공팀)
전통주 전문 교육기관의 필요성
최근 막걸리의 기능성 연구 발표로 인해 막걸리 열풍이 다시 불면서 막걸리가 자신의 위치를 찾아가는 느낌이다. 특히 최근 기사에 따르면 일본 수출물량은 금액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3% 증가한 3039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아직 나가야 할 부분도 많이 있고 풀어야할 숙제도 많이 있지만 예전에 비해 일반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막걸리는 분명 한 단계 상승했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단순하게 일하면서 마시는 저가의 술이 아닌 다양한 막걸리에 이야기가 있고 자기 취양에 맞추어 골라 마실수 있는 다양성도 만들어 지고 있다.
이처럼 막걸리에서 불어온 전통주에 대한 관심이 얼마 전부터는 자신이 직접 만들어 먹는 전통주로 옮겨하는 분위기 이다. 최근에는 집에서 직접 만들어서 마실 수 있는 D.I.Y. 제품들도 많이 나와 있어서 마음만 먹는다면 쉽게 집에서 막걸리나 약주를 만들어 마실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기성 제품이 아닌 자신들의 특색을 살린 전통주를 만들어 먹으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기위해 여러 기관에서 운영하는 전통주 교육에도 참석해서 좀 더 깊이 있는 교육을 받으려고 한다.
이처럼 많은 수요가 생기면서 단기 과정 또는 장기 과정으로 술을 배울 수 있는 기관들이 여러 곳이 생겨났다.
기관명 |
연락처(02) |
인터넷 주소 |
가양주협회 |
525-7227 |
www.homewine.kr/index.asp |
가양주연구소(류인수) |
583-5225 |
www.suldoc.com |
국순당(우리술아름터) |
513-8562 |
www.woorisooledu.com |
막걸리학교(허시명) |
722-3337 |
cafe.naver.com/urisoolschool |
북촌한옥마을 전통주교실 |
3707-8388 |
bukchon.seoul.go.kr |
배상면주가(산사원 가양주교실) |
031․531-9300 |
www.sansawon.co.kr |
수수보리아카데미 |
364-2400 |
www.susubori.ac.kr |
서울벤처대학원 |
3470-5112 |
www.suv.ac.kr |
우곡양조연구소 |
571-3207 |
www.bsm.re.kr |
한국전통주연구소(박록담) |
389-8611-2 |
www.ktwine.or.kr |
<가나다순>
위에 열거된 기관 외에도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나 문화센터에서도 전통주 강의를 하는 곳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예전에 없던 전통주 강의를 하는 곳이 많이 생겨나는 것은 전통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다는 증거이자 전통주의 발전을 위해서는 좋은 일이 아닐수없다.
하지만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있듯이 이 모든 교육기관들이 100%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는 고민해야할 문제이다. 교육기관으로서 교육 커리큘럼이나 교육 설비들은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교육 강사진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등 많은 부분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교육 기관들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기관에서는 잘못된 정보나 강사로써의 자질이 의심되는 사람들까지도 막걸리의 분위기를 타고 강사로 나서는 사람과 교육기관도 보았다.
또한 여기에 언급한 전통주 기관들은 거의 대부분이 가양주 형태나 소규모 형태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 대부분이다. 실제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양조설비들을 설명해 주거나 산업적인 생산 방법으로 교육을 하는 기관들은 거의 전무하다. 물론 기초과정에서 시작해서 추후에는 고급과정이 생길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 전통주를 생산하는 업체가 등록된 곳만 900여개라고 한다(실제 생산은 500개 정도). 이러한 양조장의 공장장들은 예전에 어깨너머 배웠거나 경험을 통해 또는 이전 공장장에게서 배운 방법대로 하는 도제식 교육이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체계적인 교육이 부족하기에 설비나 위생 또는 신제품 개발이나 위기 대처 능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전통주에 대한 전문교육기관이 생겨야 할 시점이라 생각한다. 기초 이론뿐만 아니라 현장경험을 접목한 전문 교육을 통해 양조장 자체적으로 위생 및 제품 관리가 한 단계 상승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양조장에서도 새로운 전문 교육기관이 생긴다면 최신 제조방법 및 새로운 설비들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을 받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전문기관에서 자체적인 연구 및 새로운 현장 접목 연구가 뒷받침 되어진다면 전통주 전문기관은 더욱 더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며 전통주는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