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두견주 스토리텔링 및 술 빚는 법>

溫故知新 박록담의 복원 전통주 스토리텔링(14)

 

<아들두견주 스토리텔링 및 술 빚는 법>

 

 

이제 머지않아 남녁으로부터 진달래가 온 산을 뒤덮을 때가 다가온다. 옛 풍습으로는 ‘진달래술’을 빚을 시기가 다가온 것이다. ‘진달래술’은 ‘두견주(杜鵑酒)’라고도 하는데, 충남 당진의 ‘면천두견주(沔川杜鵑酒)’가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나호로 지정될 만큼 유명하다. 그만큼 ‘두견주’는 우리 세시풍속이나 음주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런데 저술연대와 저자미상의 한글기록인 <주식방문>에 ‘아두견주’라는 주품명과 함께 주방문을 엿볼 수 있어 눈길을 끈다. 그리고 ‘아두견주’는 지금까지 보아왔던 ‘두견주’와는 전혀 다른 주방문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우선 ‘아두견주’라는 주품명이 암시하는 ‘아’의 의미가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과 함께, ‘아두견주’의 주방문에 대한 호기심이 그것이다.

확신할 수는 없지만, ‘아’은 고어사전에서 ‘아들’로 설명되고 있다. 또 <酒政>이라는 1800년대 문헌에 ‘아소곡주(兒小麴酒)’가 등장하는데, 일반 ‘소곡주’에 비해 주원료의 배합비율을 10%로 줄여서 빚는 ‘적은 양의 소곡주’를 뜻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아두견주’는 자전풀이 그대로 정상적인 방법에 비해 약식이나, 소량으로 빚는 두견주라는 해석과 함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예로 ‘두견주(杜鵑酒)’ 주방문 가운데 비교적 간단한 <술 빚는 법>의 주방문을 보면, “초 일의 미 두말 셰작말허고 물 두 말을 히여되, 족박 여 박이 갈아안계 혀, 가로의 물을 부어 범벅이 되계 쪄허 두어다가, 밤 씩거든 조흔 가로누룩 칠홉과 진말 칠홉을 한 셕거 넘지 안니헐 항의 너허 찬  두여다가, 두견니 날만 거단, 미 셔말 졈미 셔말 졍이 쓸어 부 밥을 익계 쪄, 물 셔 말을 번 여 밤의 씩거단, 밋 헐 젹의 이불 다 것고 군 업시허여, 독의 두견을 두어 되 곳술을 업시 고 술 괼 의 너허다가, 삼칠일 만의 먹계 허라. 한졔가 모도 여달 말인니, 반만 허려허면 각각 분반라.”고 하였다.

면천두견주즉, 정월 초 해일에 쌀을 가루로 빻아 동량의 끓는 물로 범벅을 쑤어 익히고, 차게 식으면 가루누룩과 밀가루 각 7홉씩 넣어 밑술을 빚는데, 큰 독에 담아 진달래꽃이 필 때까지 두었다가, 찹쌀과 멥쌀 각 3말씩 따로 고두밥을 짓고, 물도 3말을 끓여서 고두밥과 물이 다 식으면 밑술과 합하여 술밑을 각각 버무려 안치는데, 진달래꽃은 덧술이 괼 때 넣는 방법인 것이다.

따라서 <술 빚는 법>의 ‘두견주(杜鵑酒)’는 진달래꽃을 넣는 방법에서 다른 문헌의 ‘두견주(杜鵑酒)’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이 바로 <주식방문>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아두견주’와 유사한 점이기도 하다.

‘아두견주’ 주방문의 특징을 찾아보면, 몇 가지 여느 ‘두견주(杜鵑酒)’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바로 ‘아두견주’라는 주품명으로 나타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주식방문>의 ‘아두견주’는 진달래꽃이 피는 시기가 술을 빚는 때로서, 양주시기에서 차이를 알 수 있다. 양주시기는 술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자, 그 주품의 특징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꽃이 피는 봄에 빚는 ‘아두견주’는 한겨울에 빚는 일반 ‘두견주(杜鵑酒)’와는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둘째, <주식방문>의 ‘아두견주’는 지금까지 보아왔던 일반적인 ‘두견주(杜鵑酒)’의 덧술 방문으로 이루어지는, 즉 단양주법(單釀酒法)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두견주’ 주방문에 “두견화 픠 소문 잇거든 미 두말 가옷 졈미 두말 가옷 옥치 혀 가 라밤 지나거든 쇼국쥬 밥치 되기  오고 힌 믈 닷말을 어치 오고 독을 날믈긔 업시여 고앙의나 서  뭇고 술미 너코 메밥 진 거 몬져 너코 그 믈 닷말을 우희 퍼부어 야 두엇다가 두견화 픠거든 여 업시 졍히  담아 되만 줄흘 죄 싯고 손으로 쥐여 슐을 깁히 헤치고 너허 두엇다가  열흘 후 보면 말가케 괴야 과 밥알이 우희 오니라. 다  후”라고 하였다.

꽃피는 소식을 듣고 술을 빚었다가, 술이 어느 정도 익은 후에 진달래꽃을 따다가 술덧에 쑤셔 박아 두고 10일 정도 기다려서 꽃잎이 삭아 위로 떠오르면 떠서 마신다는 것이다.

‘아두견주’가 단양주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근거이다. 다만, 술밑이 어느 정도 발효된 후에 꽃을 투입하고 다시 기다렸다가 꽃을 넣는 방법은 무엇보다 안전한 발효를 중요하게 여긴 때문으로 판단된다. 단양주법이기 때문이다.

셋째, 고두밥과 꽃잎이 다 삭아서 주면 위로 떠오르면 다 떠서 채주를 마치는 것으로 되어있다. 술을 빚어 채주를 한다고 하는 것은 술빚기를 끝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와 같이 한번의 양주과정으로 말미암아 ‘아두견주’라는 주품명을 붙이게 되었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아두견주’ 곧 ‘아들두견주’는 이양주법의 ‘두견주(杜鵑酒)’와 달리 한번으로 그치기 때문에 ‘약식 두견주’이고, 이양주법 ‘두견주’에 비해 어린, 맛이나 향기가 덜한 ‘아들(아이)과 같은 두견주’라는 애칭을 붙이게 된 것이라는 견해이다.

이렇게 하고보니 아쉬움이 남았던지 “다  후  말을 닉게  식여 너코 믈  말만 혀 식여 부으면  수이 되니 이거시 아달두견쥬니라. 믈기 죠곰 이셔도 싀니 일졀 졍히 여 질 금 니라”고 하였다.

이 과정은 후주(後酒)를 하는 과정이지 정식 양주과정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만, 다른 주품과 주방문에서 후주는 대개 죽(粥)을 사용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고두밥(蒸飯)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고두밥으로 후주를 하는 ‘아두견주’와 같은 방법은 중국식 술빚기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비로소 ‘아두견주’ 주방문에 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후주방법이 다른 ‘두견주’와 또 다른 차이점이기도 하다.

끝으로 주방문 말미에 “믈기 죠곰 이셔도 싀니 일졀 졍히 여 질 금 니라.”고 하였다. 여기서 “행주질을 가끔하라.”고 한 까닭은, 술밑이 다시 끓으면서 술독이 뜨거워져 산패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

이제까지 대다수의 주방문에서 죽으로 하는 후주방법이 주류를 이루게 된 배경이 후주 후의 재발효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고, 고두밥으로 하는 후주방법을 기피하게 된 배경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후주 후에는 술독을 서늘한 곳으로 옮겨두어야 할 필요가 있고, 가끔 술독을 살피고 만져보아서 조금이라도 더워지는 기운이 느껴지면 즉시 차게 식히고나 채주를 끝내야만 한다.

<주식방문>의 ‘아들두견주’를 통해서 우리 전통주의 이야기가 보다 다양해졌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이야기는 또 다른 이야기를 낳게 된다.

 

아달(아들)두견주 방문 <주식방문>

술재료 ▴밑술 : 멥쌀 2말 5되, (누룩가루 2되, 밀가루 1되), 두견화 1되, 끓여 식힌 물 5말

▴덧술 : 찹쌀 1말, 끓여 식힌 물 1말

술 빚는 법 ▴밑술 :① 봄에 진달래 피는 소문이 들리면, 멥쌀 2말 5되를 옥같이 깨끗하게 씻어 물에 담가 하룻밤 불렸다가, (다시 씻어 건져서 물기를 뺀 후,) 되직한 고두밥을 짓는다.② 물 5말을 팔팔 끓여서 넓은 그릇에 나누어 담고 차게 식기를 기다린다. ③고두밥이 익었으면 퍼내고 고루 펼쳐서 차게 식기를 기다린다.④고두밥에 (누룩가루 2되와 밀가루 1되를) 섞고, 고루 버무려 술밑을 빚는다.⑤ 술독은 (짚불연기를 쏘여 소독하여 마른 행주로 그을음을 깨끗이 닦아 내고,) 날물기 없이 하여 광이나 서늘한데 묻어놓는다.⑥ 술독에 술밑을 담아 안친 후, 그 위에 식혀 둔 물을 퍼붓고 싸매서 발효시킨다.⑦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필 때, 활짝 핀 진달래를 따다가 꽃술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 1되를 준비해 놓는다.⑧ 술밑이 발효되어 내려앉았으면 술밑 위를 걷어내고, 준비해 둔 진달래꽃을 쑤셔박은 후, 다시 밀봉하여 10일간 발효 ·숙성시킨다.⑨ 술독을 열어보아 밥알과 꽃잎이 말갛게 떠올라 있으면 채주한다.

▴덧술 :①. 찹쌀 1말을 옥같이 깨끗하게 씻어 물에 담가 하룻밤 불렸다가, (다시 씻어 건져서 물기를 뺀 후,) 되직한 고두밥을 짓는다.② 물 1말을 팔팔 끓여서 넓은 그릇에 나누어 담고 차게 식기를 기다린다.③ 고두밥이 익었으면 퍼내고 고루 펼쳐서 차게 식기를 기다린다.④ 술을 다 떠낸 술밑에 고두밥과 식혀 둔 물을 고루 섞고, 예의 방법대로 하여 다시 발효시키면 수일 내로 술이 익는다.

* 다른 문헌의 ‘두견주’ 주방문과는 매우 상이한 주방문이다. 주방문 말미에 “믈기 죠곰 이셔도 싀니 일졀 졍히 여 질 금 니라.”고 하였다. 여기서 “행주질을 가끔하라.”고 한 까닭은, 술밑이 지나치게 끓으면서 술독이 뜨거워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

 

 

<아달두견주 방문> (봄의) 두견화 픠 소문 잇거든 미 두말 가옷 졈미 두말 가옷 옥치 혀 가 라밤 지나거든 쇼국쥬 밥치 되기  오고 힌 믈 닷말을 어치 오고 독을 날믈긔 업시 여 고앙의나 서  뭇고 술미 너코 메밥 진 거 몬져 너코 그 믈 닷말을 우희 퍼부어 야 두엇다가 두견화 픠거든 여 업시 졍히  담아 되만 줄흘 죄 싯고 손으로 쥐여 슐을 깁히 헤치고 너허 두엇다가  열흘 후 보면 말가케 괴야 과 밥알이 우희 오니라. 다  후  말을 닉게  식여 너코 믈 말만 혀 식여 부으면  수이 되니 이거시 아 두견쥬니라. 믈기 죠곰 이셔도 싀니 일졀 졍히 여 질 금 니라.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