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전통주인가?

왜, 전통주인가?

전통주, 문화 계승을 넘어선 경제 활성화의 마중물

 

이 화 선(우리술과천연식초연구회 향음 대표)

 

예전에는 집집마다 마당에 물을 끌어 올리는 펌프가 있었다. 펌프에서 물이 잘 안 나올 때, 위에서 물을 한 바가지 부으면 갑자기 물이 콸콸 쏟아졌다. 이 때 부은 물 한 바가지를 ‘마중물‘이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도 지금 마중물이 필요한 때가 아니가 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지역경제는 훌륭한 하드웨어와 기술력, 근면․성실한 인력을 충분히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답답할 정도로 원활한 흐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무엇인가 잘못되어 있거나, 어디에선가 막혀있음에 틀림없다.

 

특히나 많은 면적의 전답과 식량작물을 생산하는 농가가 있는 지자체에서는 ‘쌀 수입 전면개방’을 맞이하여 비상사태나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이전에 답습해온 쌀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이나, 중앙정부 처방에만 기댈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논 재배면적이 급격히 줄어든 데는 다른 고부가가치 산업에 밀려서일 수도 있으나, 아주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고생한 만큼 돈이 안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우리가 그동안 상대적으로 등한시 해왔던 농정, 외면했던 ‘쌀’과 ‘밀’에 지역경제 활성화의 해답이 숨겨져 있다. 외국을 예로 들면, 유럽 경제의 큰 중추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관광업과 농업이다. 또 그것을 받쳐 주고 있는 것은 과일로 만든 ‘와인’이다. 일본의 경우도 식량자급률이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나타내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전체 벼 재배면적 중 15% 가량이 고급 사케용 쌀을 재배하는 논이다. 단순히 ‘술’ 생산을 넘어 유사시 식량자급률의 상당 부분을 대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는 셈이다.

많은 지자체들이 국내를 넘어 국제적으로 자매․우호도시를 두고 있다. 가끔 결연되어 있는 국가를 방문해보면 그 나라를 대표하는 술이 반드시 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우리나라에는 없다. 우리도 지역을, 나라를 대표하는 제대로 된 술이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 유감스럽게도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주, 막걸리는 물만 국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조 방식 또한 일본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우리 전통술이라는 이름을 붙여 유통시키는 것은 허위․과장 광고에 가깝다.

 

이렇게 된 데는 일제 침탈과 배고픈 시절을 넘겨야 했던 고난의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1917년 전통주 제조장수는 121,823개, 1930년대 술 빚는 사람 수는 420,000여 명으로 당시 인구의 1/7에 이르고 있다. 일제 침탈 후 한 세기가 지나는 동안 바뀌지 않는 전통주 관련 규제도 문제이지만 국민들에게 바르게 알리고 제대로 소비하게 하는 혜안을 가진 정책적 뒷받침이 부족한 것이 더 문제이다. 전통주 산업 육성은 일자리 창출은 물론 지역경제 마중물 역할을 충분히 하고도 남을 일이다.

 

‘미국 와인은 과학이고, 유럽 와인은 예술’이라는 말이 있다. 비유해서 ‘일본 사케가 과학이라면 우리 전통술은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쌀로 빚는 술이지만 재료 가공과 주조 방식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 전통주 육성은 과거 문화유산을 답습하는 일이 아니다. 전통주 산업은 창조적인 분야이고 경제적으로 전․후방 연관 효과를 뚜렷이 예측할 수 있는 산업이다.

 

또한 민․관 협력의 거버넌스(Governance) 역량을 결집시킬 수 있는 분야가 있다면 바로 전통주 산업을 꼽을 수 있다. 관(官) 주도가 아닌 민(民) 중심의 문화가 녹아들은 분야이기 때문이다. 조선시대는 지역마다 향교가 있었고 이곳에서 청년들에게 향음주례(鄕飮酒禮)를 가르쳤다. 이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 간 소통이 있었고, 규율과 질서가 바르게 잡혔던 것이다. 지금의 마시고 취하기만 하는 술 문화와는 엄연히 다르다. 향음주례는 수직적 관계에서만 작동되던 메카니즘이 아니다. 지금과 같은 민․관․산․학 제 분야에서 수평적 협력관계가 절실히 필요할 때 각 지자체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면서, 한바탕 어우러진 축제와 같이 즐겁고 유쾌한 모범답안을 낼 수 있는 분야이다.

 

우리나라 식(食) 문화의 두 개 축이었던 김장문화와 가양주문화. 지금은 김장문화만 남아 있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재’에 등재되기까지 했지만 가양주문화는 사라져 버렸다. 글로벌시대이다. 다시한번 ‘술의 나라, 불의 나라, 문화대국 대한민국’을 꿈꾸며, 옛 영광을 부활시키는 일에 나서야 한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