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하의 취중진담
삼겹살에 소주 한 잔 할래요?
희석식 소주는 흔해 빠진 술로 취급당한다. 마트나 편의점 어디를 가나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골의 외진 구멍가게에도 생수는 없어도 소주는 있다. 노숙자에서부터 돈 많은 부자들, 고관대작들도 소주를 마신다. 그래서 소주(燒酒)는 자연스레 국민주가 돼버렸다.
희석식 소주가 한국에서는 귀한 대접을 받지 못하지만 전 세계인들에게 소주는 귀한 술이다. 전 세계 주류 판매량 부동의 1위는 한국의 진로소주이기 때문이다.
같은 소주라도 증류식 소주는 한국에서도 대접을 받는다. 맛도 좋고 풍미도 풍부해서다. 그렇지만 희석식 소주에 비해 가격이 비싼 것이 흠이라면 흠이다.
특히 문화적 측면에서 한류열풍이 불면서 한식을 비롯한 소주까지 많이 팔린다니 기분 좋은 소식이 아닌가.
오래전의 일이다. 외국의 유명한 술 브랜딩 전문가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동급의 우리나라 술 전문가가 술대접을 했다고 한다. 우리가 흔히 먹고 마시는 대로 삼겹살에 소주를 대접했단다.
당시 외국 전문가는 생삼겹살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 어떻게 생고기를 구워먹느냐며 우리의 식문화를 보고 야만인 취급을 했다고 한다. 술 역시 전날 소주공장을 방문했을 때 본 그 술이 상에 오르자 숙성시키지 않은 술이라며 처음에는 마시기를 꺼렸단다. 그러자 초대한 사람이 진지하게 권하자 삼겹살에 소주를 마셔보곤 엄지척 하더란다.
이런 소주가 압도적인 판매량으로 세계판매량 1위자리를 수성하고 있으며 볼륨도 다른 제품의 몇 배에 이를 정도로 엄청난 판매량을 자랑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주당도 많다. 주당들은 앞으로 이런 자부심을 가지고 소주 한잔 하시는 것이 어떨까.
주당이 아니더라도 ‘삼겹살에 소주 한잔 할래?’라는 말은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말이었다. 그런데 최근 주류회사들이 소주·맥주의 출고가를 인상하자 식당들은 기다렸다는 듯 소주 가격을 1∼2천 원씩 올려 받기 시작했다.
호주머니가 가벼운 서민들은 ‘삼겹살에 소주 한잔’이 낙이었는데 앞으로는 이마져 사치가 될 것 같다. 고기값도 술값도 올라서 ‘두서너 명이 삼겹살에 소주를 마셔도 10만원’은 쉽게 나오기 때문이다.
대한주정판매는 10년 만에 주정(酒精) 가격을 7.8% 인상했고, 병뚜껑 가격과 빈용기보증금 취급 수수료 등 원부자재값도 줄줄이 올라서 소주회사들은 출고가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참이슬은 출고가를 7.9% 인상했다. 따라서 참이슬 후레쉬, 참이슬 오리지널 360㎖ 한 병의 국내 출고가는 1081원에서 1166원으로 85원 올랐다.
그런데 대부분 식당에서는 인상된 출고가에 인건비 등을 고려하여 평균 4,000원 받던 소주가격을 5,000원 또는 6,000씩 받고 있다.
1965년 정부에서 양곡법을 시행하기 전까지만 해도 소주는 고급주로 인식되었었다. 이 양곡법은 1980년대에 폐지됐지만 희석식 소주에 길들여진 소비자 입맛은 변하기 어려웠다.
이후 상당수의 업체가 증류식 소주를 출시했지만 20여년 이상 길들여진 입맛은 쉽게 변하지 않았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증류식소주의 품질이 좋아지고 이를 찾는 이들이 많아 오히려 젊은 층으로부터 증류식 소주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다행이라 여겨진다.
이 때문인가. 최근 콜키지 프리(corkage free)로 영업하는 식당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원래 콜키지 프리로 영업하는 식당은 손님이 식당에 와인을 사가지고 가면 레스토랑에서 무료로 잔을 제공하고 코르크를 개봉해 주는 서비스이다.
와인이 아니더라도 좋다. 소주 맥주, 막걸리까지 들고가서 안주만 시키면 된다. 술값에 부담을 느끼는 주당들에게는 구미가 당기는 식당일 것 같다.
“소주 한잔 할래?” 하는 이 말도 하기가 어려워진다면 서민들은 어쩌란 말인가.
소주 병 뚜껑 따는 촉감과 술을 따르는 소리로 그나마 시름을 달래왔던 서민들은 이제 안주 가격보다 더 비싸진 소주 값에 그야말로 뚜껑 열리게 생겼다.
친구가 ‘소주 한잔 할래?’라고 하면 얼른 응해 주자. ‘소주 한잔 할래’란 말은 진짜로 술이 먹고 싶어서도 있겠지만 같이 어울리자는 뜻이 더 많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소주 한잔 하면서 대선(大選)의 뒷담화라도 해야 할 판이다.
삶과술 발행인 ti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