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술병』
결국 당신께 돌아가는 에움길
육정균 (시인/부동산학박사)
길은 사람들이 정말 자주 쓰는 흔한 말이다. 긴 세월 좋은 친구처럼 다정하게 긴 여운(餘韻)을 주는 ‘에움길’도 있다. ‘빙 둘러서 가는 멀고 굽은 길’이라는 뜻이다. 둘레를 빙 ‘둘러싸다’는 동사 ‘에우다’에서 나왔다. 지름길은 질러가서 가까운 ‘길’이고, 에움길은 에둘러 가서 먼 ‘길’인 셈이다. ‘오솔길’등의 사투리로 ‘질’이라는 말도 쓴다.
‘길’은 순수 우리말이다. 한자를 쓰기 전부터 ‘길’이라고 말했다. 신라 향가(鄕歌)에도 나온다. ‘길’을 칭하는 말들은 대개가 우리말이다. 그런데 ‘길’ 이름에는 질러가거나 넓은 ‘길’보다 돌아가거나 좁고 험한 ‘길’에 붙은 이름이 훨씬 많다.
우리 인생사처럼 말이다. 집 뒤편의 뒤안길, 마을 좁은 골목길을 뜻하는 고샅(길), 꼬불꼬불한 논두렁 위로 난 ‘논틀길’, 거칠고 잡풀이 무성한 ‘푸서릿길’, 좁고 호젓한 ‘오솔길’, 휘어진 ‘후밋길’, 낮은 산비탈 기슭에 난 ‘자드락길’, 돌이 많이 깔린 ‘돌서더릿길’이나 ‘돌너덜길’, 사람의 자취가 거의 없는 ‘자욱길’, 강가나 바닷가 벼랑의 험한 ‘벼룻길’, ‘숫눈길’, 눈이 소복이 내린 뒤 아직 아무도 지나가지 않아, 누구든 지나갈 그대의 첫 발자국을 기다리는 ‘길’이 있다.
‘길’이란 단어는 자체만으로도 참 문학적이고 철학적이고 사유적이다. ‘도로’나 ‘거리’가 주는 어감과는 사뭇 다르다. ‘길’은 단순히 사람들이 밟고 지나다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길’이 없다”거나 “내 갈 ‘길’을 가야겠다”, “도적질, 서방질, 백정질, 삽질…을 한다”는 표현에서 보듯 ‘길’은 삶의 방법이나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영어 ‘way’도 ‘street’와 달리 같은 중의적 의미를 갖는다. 서양 사람들도 ‘길’에서 인생을 연상하는 동양적 사고를 하는 면은 같다는 생각이다.
불교(佛敎)나 유교(儒敎), 도교(道敎) 등 동양 사상에서의 공통적 이념도 ‘도(道)’라고 부르는 ‘길’이다. 우리는 평생 ‘길’ 위에 있다. 누군가는 헤매고, 누군가는 잘못된 ‘길’로 가고, 누구는 한 ‘길’을 묵묵히 간다. 오르막길이 있으면 반드시 내리막길도 있다. 탄탄대로가 있으면 막다른 골목도 있다.
세상에 같은 길은 없다. 나만의 길만 있을 뿐이다. 프랭크 시내트라에게는 “Yes, it was my way”였고 “I did it my way”였다. 나이가 지긋한 이들은 그 유명한 흑백 영화 ‘길’(La Strada, 1954년)을 기억할 것이다. 야수 같은 차력사 잠파노(Anthony Quinn)와 순진무구한 영혼을 가진 젤소미나(Giulietta Masina)는 평생 서커스 동반자로 ‘길’을 떠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자기가 버린 젤소미나의 죽음을 알고 잠파노는 ‘길’이 끝나는 바닷가에서 짐승처럼 울부짖는다. 애절하게 울려 퍼지는 니노 로타(Nino Rota)의 그 유명한 트럼펫 연주 테마 음악, 영화와 제목이 너무나 잘 어울린다.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명시 ‘가지 않은 길’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 그리고 그것이 나의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길’은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도 존재하지만 떠나기 위해서도 존재한다. ‘길을 간다’라는 말보다 ‘길을 떠난다’는 말은 왠지 낭만적이고 애잔하거나 결연하다. 결국 우리는 ‘길’ 위에서 ‘길’을 물으며 살아간다.
그게 입신양명(立身揚名)의 ‘길’이거나, 고행의 ‘길’이거나, 득도(得道)의 ‘길’이거나, 산티아고 ‘길’이거나, 바이칼 호수의 자작나무 숲길이거나, 동네 둘레길이거나 우리네 인생이 곧 ‘길’이요, 우리의 발이 삶이다.
결국은 ‘마이 웨이’를 가는 거다. 지름길을 택할 것인가, 에움길로 돌아서 갈 것인가? 인생길은 결국은 속도(速度)와 방향(方向)의 문제이다. 지름길로 가면 일찍 이루겠지만 그만큼 삶에서 누락(漏落) 되고 생략(省略)되는 게 많을 것이다. 에움길로 가면 늦어도 많이 볼 것이다.
꽃구경도 하고, 새소리 바람소리도 듣고, 동반자와 대화도 나눌 것이다. 올 한해 공주시 정안의 농장에 가서 서툰 농부의 ‘마을 길’을 걸었다. 동네의 농부들은 트랙터와 경운기를 몰고 지나가는 ‘길’이고, 내겐 그냥 걸어서 다닌 ‘오솔길’이었다. 그 ‘마을 길’이 폭우로 무너졌다. ‘길’만 무너진 것이 아니라 농장의 고구마, 서리태콩, 동부, 팥 등 농작물, 1년의 수고가 슬프게도 수마(水魔)와 고라니 밥이 되었다.
사랑도 그렇지 않을까? 모든 사랑은 차표(車票) 한 장으로 쉽게 가는 지름길이 아니고, 수만 갈래의 에움길을 돌고 돌아서 이루는 것이다. 여기, 사랑의 신선함을 에움길로 묘사(描寫) 한 시(詩)가 있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 (중략) 나의 생애(生涯)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 하나의 에움길이었다” 오늘도 자신의 ‘길’을 저벅저벅 걸어가야겠다. 그 ‘길’이 사랑하는 이에게 가는 ‘길’이든, 하느님 같은 절대자에게로 다시 돌아가는 ‘길’이든 당신과 나의 ‘길’을 응원하는 시월의 찬란한 저녁은 고소한 전어와 함께 마시는 감미로운 소곡주로 아름답다.
* 육정균 : 충남 당진 出生, 2000년 작가넷 공모시 당선, 2002년 현대시문학 신인상(詩), 2004년 개인시집「아름다운 귀향」 출간, 2005년 현대인 신인상(小說), 부동산학박사, (전) 국토교통부(39년 근무)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관리국장(부이사관), 개인택시공제조합이사장, (현) 국토교통부 민원자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