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기원 개발 전통주 27종, ‘종로 전통주갤러리’에서 시음·전시
경기도 농기원 개발 기술 이전한 전통주 27종 전시․홍보
전통주갤러리에서 전통주 개발자, 생산자, 소비자 함께 참여
대통령 취임식 만찬주 및 국내외 주류 품평회 수상 우수 제품 출품
전통주+시음행사(2019년)경기도농업기술원이...
우리가 처음 만든 술은 어떤 형태였을까?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90)
우리가 처음 만든 술은 어떤 형태였을까?
현재 전통주 제조법의 대부분을 보면 쌀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쌀을 증기로 찐 고두밥으로 제조하는 형태이다....
전통주 산업 발전 토론회가 토론회로 끝나면 안 된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205)
전통주 산업 발전 토론회가 토론회로 끝나면 안 된다
지난 2월 18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윤호중·임호선 국회의원의 주최로 ‘전통주 산업 발전 및 명주...
막걸리, 국가무형문화재 등재 이후가 더 중요하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62
막걸리, 국가무형문화재 등재 이후가 더 중요하다
2021년 6월 15일 ‘막걸리 빚기’가 국가무형문화재 제144호로 등재 되었다. 처음 막걸리의 국가무형문화재 등재 추진은...
전통주, 2030세대가 즐길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 주자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32)
전통주, 2030세대가 즐길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 주자
2017 주류소비트렌드 조사결과를 분석하고 전통주를 돌아보자
전통주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옛날 이미지나 고리타분한...
전통주 소비 증가와 막걸리 소비 감소라는 현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75)
전통주 소비 증가와 막걸리 소비 감소라는 현실
매년 발표되는 국세통계연보 중 주류 통계는 1년 정도 늦은 결과를 반영한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가장 정확한...
지역에서부터 시작되어야하는 ‘술품질등급 제도’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135)
지역에서부터 시작되어야하는 ‘술품질등급 제도’
프랑스의 AOC(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 이탈리아의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스페인의 DO(denominación de origen)에 대해 알고 있다면...
지역 술의 발전은 지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52
지역 술의 발전은 지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전통주 발전에서 중요한 요소는 전통주를 업으로 하는 생산자, 양조장들의 의견을 대신하는 협회, 양조장을 지원...
신선한 막걸리 말고 숙성 막걸리는 어떠세요!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74)
신선한 막걸리 말고 숙성 막걸리는 어떠세요!
‘막걸리’의 한글 표기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판각 유통되었던 춘향전 완판본「열녀춘향수절가」에 등장한다. 암행어사가 된 이...
지역 특산주로 만든 맥주와 위스키를 마셔볼 날이 올까?
이대형의 우리 술 바로보기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39
지역 특산주로 만든 맥주와 위스키를 마셔볼 날이 올까?
우리 주세법에는 ‘지역특산주’라는 제도가 있다. 지역특산주(농민주)는 1993년부터 농업인들의 주류 제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