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천만칸 집을 지을꼬(2)

차동영의 唐詩 시리즈 ② 詩聖 杜甫 언제나 천만칸 집을 지을꼬(2)   ◈ 당시(唐詩) 중국 당나라 시대의 시풍이다. 당시(唐詩)는 중국 당나라 때 지어진 시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송시(宋詩)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지금부터 전통주 주점 활성화를 준비하자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46 지금부터 전통주 주점 활성화를 준비하자   전통주 주점은 소비자가 전통주를 만나는 접점이기에 주점이 많아지고 활성화 되면 전통주 소비는 자연히 증가된다. 몇...

막걸리가 코로나 19 감염 예방에 특효(?)

金元夏의 취중진담 막걸리가 코로나 19 감염 예방에 특효(?)   지난 2월 19일 김용훈 감독의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이란 영화가 개봉되었다. 보고는 싶지만 그 놈의 코로나 19 바이러스...

술의 신(酒神) 디오니소스(Dionysos) 신화 이야기②

南台祐 교수의 특별기고 술의 신(酒神) 디오니소스(Dionysos) 신화 이야기②   서양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그리스 신화의 시작은 대지의 신 가이아(Gaia)로부터 시작된다. 가이아는 자신이 낳은 하늘의 신 우라노스(Uranus)와...

지금 전통주는 준비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이대형의 우리술 바로보기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 145 지금 전통주는 준비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최근 한국막걸리협회에서 국무총리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감사패 전달은 총리가 재임기간 동안 보여 준 막걸리 사랑에...

언제나 천만칸 집을 지을꼬(1)

차동영의 唐詩 시리즈 ② 詩聖 杜甫 언제나 천만칸 집을 지을꼬(1) 詩聖 두보와 唐詩 ◈ 두보(杜甫) 두보(杜甫, 병음 Dù Fǔ 712~770)는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다.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患者列車

권녕하 (시인, 문화평론가 <한강문학> 발행인) 患者列車   ▴2020년 벽두부터, 중국 우한(武漢)에서부터 비롯된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감이 국내에 연기처럼 스며들기 시작했다. 정부의 미지근한 대처에 불안감이 가중된 대한민국. 서울의...

나 무

빈술잔에[ 시 읽어 주기 나 무 이영식   수저 하나 없이 햇살을 마음껏 퍼먹고는 초록으로 배가 불렀다 사방으로 펼쳐놓은 가지에 새들이 둥지를 틀었다 월세 한 푼 받지 않는 집 새들이 너무 고마워 씨앗을 물어...

희망찬『귀밝이술』한잔

『빈 술병』 희망찬『귀밝이술』한잔 육 정 균 (전국개인택시공제조합이사장/시인/부동산학박사)   설이 지나고 정월 대보름이 지나고 나니, 해도 길어져 아침 7시쯤이면 먼동이 터서 훤한 세상을 볼 수 있다. 약간 어슴푸레한 미명...

酒力도 나이처럼 늙어 간다

김원하의 <취중진담> 酒力도 나이처럼 늙어 간다   “난 평생 소주 1잔만 마셔봤으면 원이 없겠다” “주당들이 들으면 무슨 소리”냐며 의아하게 느낄지 모르겠지만 주변에는 이런 사람들이 더러 있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술...

최신 기사

20,831FansLike
3,445FollowersFollow
14,700Subscribers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