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처음 만든 술은 어떤 형태였을까?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90)
우리가 처음 만든 술은 어떤 형태였을까?
현재 전통주 제조법의 대부분을 보면 쌀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쌀을 증기로 찐 고두밥으로 제조하는 형태이다....
이번 명절 차례 상에 전통주를 대접해보자
이대형의 우리술 바로보기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 144
이번 명절 차례 상에 전통주를 대접해보자
경자년(庚子年)새해가 밝았다. 양조장들은 올해 설날이 1월에 있다 보니 마음이 조급하다. 설에 사용할 술들을...
오늘의 전통주 통계로 설명해 본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67
오늘의 전통주 통계로 설명해 본다
최근 전통주 관련 기사를 보면 많은 사람이 찾는 핫한 아이템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과거와 다르게...
우리는 전통주 역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
이대형의 우리술 바로보기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136)
우리는 전통주 역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
전통주와 관련된 연구를 이야기 할 때 대부분은 제조에 집중을 해서 이야기를 한다. 그동안...
‘우리술품평회’에 대한 변화의 목소리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78)
‘우리술품평회’에 대한 변화의 목소리
2022 대한민국 우리 술 품평회(이하 품평회)가 끝이 났다. 탁주, 약·청주, 과실주, 증류주(증류식소주, 일반증류주), 기타주류(리큐르, 기타주류) 5개 부분에서...
로코노미 시대: 지역특산주가 이끄는 새로운 소비 패러다임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99)
로코노미 시대: 지역특산주가 이끄는 새로운 소비 패러다임
현재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 1.51명에 비해...
지역 전통주 연구소가 필요한 이유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202)
지역 전통주 연구소가 필요한 이유
최근 쌀 소비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통주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벼농사를 중요시하는...
21년을 보내고 22년을 맞이하며 전통주를 바라본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68
21년을 보내고 22년을 맞이하며 전통주를 바라본다
21년 초 만해도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나면 위드코로나로 과거의 생활까지는 아니더라도 조금 더 자유로운...
‘공유양조장’에서 전통주를 생산해 보자
이대형의 우리술 바로보기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 140
‘공유양조장’에서 전통주를 생산해 보자
최근 ‘공유주방’이 새로운 요식업 모델로 이야기 되고 있다. ‘공유주방’을 간단히 설명하면 운영자가 설비를 갖춘 주방을...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한 전통주들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84)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한 전통주들
최근 지자체들 마다 전통주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과거에도 지자체는 지역의 전통주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