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에 따른 맛과 향기를 구현하되 일순에 익히는 ‘십일 주(十日酒)’

溫故知新 박록담의 복원전통주 스토리텔링/60번째 용도에 따른 맛과 향기를 구현하되 일순에 익히는 ‘십일 주(十日酒)’   해가 바뀌는 시각에 앉아 ‘십일 주(十日酒)’를 빚어 놓고 집에 돌아와 손발을 씻다 보니, 다시...

『빈 술병』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에세이 『빈 술병』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육정균 전국개인택시공제조합이사장/詩人/부동산학박사 내겐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었다. 1월 중순 새롭게 부임한 공기업 성격의 회사는 설립 27년 이래 가장 어려운 시기인...

우리는 전통주 역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

이대형의 우리술 바로보기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136) 우리는 전통주 역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   전통주와 관련된 연구를 이야기 할 때 대부분은 제조에 집중을 해서 이야기를 한다. 그동안...

사회구조가 사주에 미치는 영향

한석수의 사주팔자 사회구조가 사주에 미치는 영향   사주팔자는 사람이 태어나면서 엄마와 아기의 생물학적인 인연인 탯줄을 자르는 순간 사주팔자의 기운이 결정된다. 그 사주팔자에 따라서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인생의...

당시(唐詩)로 대륙 중국을 헤아려보자(20)

차동영 이태백 시 당시(唐詩)로 대륙 중국을 헤아려보자(20) 6장 미소만 지을 뿐 마음만은 한가롭다네   무리 새가 높이 날아 사라지고 외로운 구름은 홀로 가는 게 한가롭구나 山中問答 산에서 묻고 답하다 그대에게 묻노니 어찌하여...

관용이 명판결이다

김원하의 데스크칼럼 관용이 명판결이다   요즘은 온통 수사, 구속, 판결 같은 날선 기사들이 미디어를 장식 한다. 훈훈한 이야기 꺼리가 없어서인가. 국회도 정부도 매한가지다.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상대방에 대해서...

자신의 몸을 戒盈杯로 만들어라

김원하의 취중진담 자신의 몸을 戒盈杯로 만들어라   술 예찬 가들은 이렇게 말한다. “술은 백약지장(百藥之長)이다. 그래서 술은 신이 내려주신 최고의 음식”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이런 믿음을 가지고 마신다. 그렇지만...

주몽朱蒙

주몽 朱蒙 권녕하(시인, 문화평론가 <한강문학> 발행인)   주몽은 고구려의 시조(始祖)다. 주몽이 활을 얼마나 잘 쏘았는지, 주몽이 부여에 있었을 때 ‘활 잘 쏘는 사람’ 하면 ‘주몽’으로 통했다....

‘積弊’ 윤회설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김원하의 데스크칼럼 ‘積弊’ 윤회설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1990년에 조용필이 부른 ‘돌고 도는 인생’이란 노래가 히트 한 적이 있었다. 무엇을 보고 들었나 돌고 돌아가는 인생/ 바람이 불어와 나를...

주세의 지방세 전환 전략, 조건과 과제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25) 주세의 지방세 전환 전략, 조건과 과제 趙 聖 基 (아우르연구소, 대표.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경제학 박사)   어찌 보면 별 일이다. 주세를 지방세로 전환하자는 정책이 구체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니...

최신 기사

20,831FansLike
3,445FollowersFollow
14,700Subscribers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