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마시기도 하고 가공 재료로도 사용해 해보자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48 막걸리, 마시기도 하고 가공 재료로도 사용해 해보자 주세법상 주류의 정의는 알코올분 1도 이상의 음료를 이야기 한다. 마실 수 있는 것을...

건강하길…

<빈 술병> 건강하길…   육 정 균(시인/부동산학박사)   필자는 시를 쓰고, 소설을 쓴다. 연식이 쾌나 깊어진 지금도 바쁜 삶에 젖어 여전히 불같은 창작열을 지피지는 못하는 아쉬움이 많지만 등단 시인이자...

우리나라 와인의 역사

김준철의 와인교실(23)   우리나라 와인의 역사     김준철 원장 (김준철와인스쿨)     ◇ 우리나라 포도는 없다   세계적으로 포도는 주로 와인을 만드는 ‘유럽포도’, 식용인 ‘미국포도’ 그리고 우리가 ‘머루’라고 부르는 ‘아시아포도’, 이렇게 크게 세...

전통주, 규제강화와 규제완화 사이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 159 전통주, 규제강화와 규제완화 사이 주류는 과거부터 기호식품 안에서도 중독성과 인체에 유해하다는 이유로 많은 규제가 있어왔다. 하지만 산업적인 방면에서는 주류에 가치를...

술의 신(酒神) 디오니소스(Dionysos) 신화 이야기(59)

南台祐 교수의 특별기고   술의 신(酒神) 디오니소스(Dionysos) 신화 이야기(59)   ‘디오니소스적 세계’는 바로 이러한 ‘개별화의 원리’가 파괴되면서부터 나타난다. 아폴론이 고통의 현실을 영원하고 조화로운 진리성, 완전성으로 극복하려고 하지만, 디오니소스는...

박록담의 복원전통주스토리텔링 100번 째 이야기 ‘유감주(乳甘酒)’ 스토리텔링 및 술 빚는 법 ‘유감주(乳甘酒)’는 “술 빛깔이 젖과 같이 묽고 부드러우면서 밝은 빛깔을 띤다.”고 한 데서 ‘유감주(乳甘酒)’라는 주품명을...

꽃이라 술잔이라

音酒동행   꽃이라 술잔이라   문 경 훈 교사(지혜학교)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추억과 욕정을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T.S. 엘리엇이라는 이름은 몰라도, ‘황무지’라는...

지난 해 우리 술 품평회서 대통령 상 받은 ‘이도42’

농업회사법인 조은술 세종 경기호․이승애 대표   지난 해 우리 술 품평회서 대통령 상 받은 ‘이도42’ 상호부터 주명에 이르기까지 세종대왕의 맥이 흐른다   세계적으로 핫한 글이 우리나라 한글이다. 어떤 언어학자들은...

이탈리아의 음주문화와 알코올 정책(下)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38) 이탈리아의 음주문화와 알코올 정책(下) 조성기(아우르연구소 대표/경제학박사) 급격히 줄어든 이탈리아인들의 음주량과 그 이유 1970년대의 이탈리아인들의 음주량은 무려 16.1리터나 된다. 세계보건기구의 자료로는 20리터에 육박한다. 대단하다. 그 이후 음주량이...

최신 기사

20,831FansLike
3,445FollowersFollow
14,700Subscribers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