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절제하라고 가르친 임금 세종
박정근 칼럼
술을 절제하라고 가르친 임금 세종
박정근(대진대 교수, 윌더니스문학 발행인, 소설가, 시인)
민중들에게 소주가 유행하기 시작한 때는 고려로 거슬러 올라간다. 몽골군은 유럽을 원정하면서 수메르인들이 최초로 만들었다는...
정치가들 그렝이질 기법부터 배워야
발행인 신년사
정치가들 그렝이질 기법부터 배워야
애독자 여러분 경자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가정마다 만복이 깃드시길 기원 드립니다. 지난 한 해 국내·외적으로 정말 시끄럽고 힘든 일들이 많았던 한 해였습니다.
최저...
여름철, 늦은 밤과 새벽에 주취자 ‘극성’
여름철, 늦은 밤과 새벽에 주취자 ‘극성’
법적 체계를 통한 단주교육 및 재활치료가 적극 필요한 때
사회적 거리두기 제한이 풀린 이후 주취범죄, 음주운전 등 술로 인한 범죄가...
설비의 청소
전통주의 명품 화를 위하여(7)
설비의 청소
김주수(양조설비전문발명가․브루앤드디스틸시스템 대표)
발효 후 설비의 청소는 다음단계의 양조를 위하여 발효가 끝나고 탱크가 비워지면 바로 청소하여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발효...
건강하길…
<빈 술병>
건강하길…
육 정 균(시인/부동산학박사)
필자는 시를 쓰고, 소설을 쓴다. 연식이 쾌나 깊어진 지금도 바쁜 삶에 젖어 여전히 불같은 창작열을 지피지는 못하는 아쉬움이 많지만 등단 시인이자...
멕시코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上)
멕시코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上)
조성기 경제학박사 (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한국대학생알코올 문제예방협회, 회장)
멕시코의 음주문화 이야기는 ‘코로나’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 바이러스와는 무관하지만 이름이...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1)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40)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1)
조성기(아우르연구소 대표/경제학박사)
코로나 19가 전 세계를 강타하던 2020년 초 미국사회는 유태인사회와 이탈리아 이주민 가족에서 확진 율이 매우 높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의 가족적...
아름다운 귀향
『빈 술병』
아름다운 귀향
육정균<전국개인택시공제조합이사장/시인/부동산학박사>
최근 늦은 나이에 사회복지학 석사과정을 마치면서, 노인과 장애인복지 분야에 특히 관심이 많아졌다. 그런 까닭으로 노인의 쇠약해진 신체를 보좌할 장구로써 흔한 전동 휠체어나...
우리가 처음 만든 술은 어떤 형태였을까?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 술 바로보기(190)
우리가 처음 만든 술은 어떤 형태였을까?
현재 전통주 제조법의 대부분을 보면 쌀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쌀을 증기로 찐 고두밥으로 제조하는 형태이다....
궁핍 속에서 술을 즐기는 도연명
궁핍 속에서 술을 즐기는 도연명
박정근(문학박사, 작가, 시인, 황야문학 발행인)
필자는 문인으로서 술과 관계된 친구들이 많다. 은퇴를 한 후 더욱 친구들과의 만남이 기다려지고 정겹다. 사실 살아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