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꾼은 술병을 세지 않는다
김원하의 취중진담
술꾼은 술병을 세지 않는다
과거 직장 상사 였던 분의 닉네임이 ‘소주 반병’이었다. 이 분은 술집에 가면 주당(酒黨) 수에 관계없이 소주 반병을 시킨다. 주당이 2명일...
왜 한국의 정책당국은 주류유통제도를 빨리 쉽게 변화 시키려고 할까?
왜 한국의 정책당국은 주류유통제도를 빨리 쉽게 변화 시키려고 할까?
조성기(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자/경제학박사)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이사
▴살림농산(한살림), 경영고문
(President, BACCHUS KoreaChief Researcher, AOUR...
‘삼국사기’의 술(酒) 기록
권녕하 칼럼
'삼국사기'의 술(酒) 기록
권녕하
시인, 문화평론가 <한강문학> 발행인
《삼국사기(三國史記)》〈권 제45〉,〈列傳 제5〉 ‘석우로(昔于老)’ 편에 술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석우로의 아내가 국왕께 청하여 사사로이 왜국 사신을 대접하다가...
‘2018 주류소비 트렌드 조사’를 분석하다(Ⅱ)
이대형 연구원의 우리술 바로보기 142
‘2018 주류소비 트렌드 조사’를 분석하다(Ⅱ)
전통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
앞선 글에서는 전통주의 주류 소비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어떻게...
술의 신(酒神) 디오니소스(Dionysos) 신화 이야기(34)
南台祐 교수의 특별기고
술의 신(酒神) 디오니소스(Dionysos) 신화 이야기(34)
고대 그리스, 암픽티온(Amphiktyon)이라는 왕이 아테네를 다스리던 때이다. 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인도로 여행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아테네 인근의 할리모우스(Halimous)라는...
송강 정철의 〈한잔 마시게〉의 실존적 의미
박정근 칼럼
송강 정철의 〈한잔 마시게〉의 실존적 의미
박정근(문학박사, 소설가, 시인, 대진대 교수 역임)
정철(한국 한자:鄭澈)은 1536년 12월 18일에 종로 장의동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시인,...
효주(酵酒)의 특징 및 술 빚는 요령
박록담의 복원전통주스토리텔링 115번 째 이야기
효주(酵酒)의 특징 및 술 빚는 요령
20여 년 전의 일로 기억된다. 가양주와 밀주 단속으로 가정에서의 술빚기가 여의치 않던 시절 술 공부를...
생의 환희를 노래하기 위한 권주가, 이백의 將進酒
박정근 칼럼
생의 환희를 노래하기 위한 권주가, 이백의 將進酒
박정근(대진대 교수, 윌더니스 문학 주간, 소설가, 시인)
인생에서 시간보다 귀중한 것이 있을까. 이백이 권주가를 쓴 동기는 삶의 찰나성과...
2018년의 주류정책과 산업 진단, 2019년의 과제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 21
2018년의 주류정책과 산업 진단, 2019년의 과제
알을 뚫고 깨어나야 한다.
새해에는 힘을 합쳐 주류산업과 정책의 모습을 제대로 갖추어 보자.
조성기(경제학박사/ 아우르연구소 대표)
영국에 ‘진실은 와인에 있다’는...
술은 陽일까 陰일까
삶과술 칼럼
술은 陽일까 陰일까
임재철 칼럼니스트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음(陰)과 양(陽)은 고대 중국에서 철학상의 기본을 이룩한 관념이다. 양(陽)이라는 글자는 원래 햇볕, 햇볕이 드는 곳, 빛을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