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정책의 민주화와 산업발전을 위해

주류정책과 정책이야기(34)   주류정책의 민주화와 산업발전을 위해 전제와 방향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②)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이사, 연구센터장   술은 특별한...

주류정책의 민주화와 산업발전을 위해 전제와 방향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①)

주류정책의 민주화와 산업발전을 위해 전제와 방향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①)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이사, 연구센터장   “술 정책의 문제는...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Ⅳ)

주류산업과 정책 이야기(32)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Ⅳ)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공동원장   논의에 설득력을 추가하기 위해 정보를 더...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Ⅲ)

주류산업과 정책 이야기(31)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Ⅲ)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공동원장 이제 확실히 남아있는 정부의 규제 도구...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Ⅱ)

주류산업과 정책 이야기(30)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Ⅱ)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공동원장 정부는 근자에 들어 ‘규제 샌드박스’를 설치해서...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

주류산업과 정책 이야기(29) 기후위기와 감염병 시대정신에 맞는 술 산업정책<上> 조성기(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한국할랄산업연구원, 공동원장 기후위기 시대에 전격 돌입했다. 동시에 코로나19...

우리에게 술 정책이 있는가?

주류산업과 정책 이야기(29) 우리에게 술 정책이 있는가? 정책우선순위와 방향성이 없는 정책은 지지받지 못한다② 조성기 경제학박사 (趙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원주한살림, 이사장 살림농산, 대표이사 아우르연구소, 대표연구원 알코올정책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우리에게 술 정책이 있는가?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28) 우리에게 술 정책이 있는가? 정책우선순위와 방향성이 없는 정책은 지지받지 못한다(1) 조 성기(趙 聖基, Surnggie Cho) PhD of Economics. MPH. 한국대학생알코올문제예방협회 회장 아우르연구소, 대표 술은 인류사, 민족사와 함께 해 왔다. 산출하는...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完)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43)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完) 조성기(아우르연구소 대표/경제학박사)   1990년에 이스라엘에 사는 이슬람출신 청소년을 상대로 한 역학조사가 있었는데 주목할 만한 결과들이 제법 나왔다. 아랍에 사는 이슬람여성들은 술을 전혀 마시지...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3)

주류산업과 정책이야기(42)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알코올정책(3) 조성기(아우르연구소 대표/경제학박사)   더욱이 청소년에 대한 술문제 조사가 실시된 해도 1979년이었다. 우리나라는 대체로 2000년경에 그러한 일을 하게 된다. 우리보다도 20년 이상 앞섰던 것이다....

최신 기사

20,831FansLike
3,445FollowersFollow
14,700SubscribersSubscribe